한국, 인공지능 따라와야지?
★ Disclaimer
글 작성 시점 혹은 이전부터 언급된 기업을
보유할 가능성이 있고 편향된 시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투자의 판단은 본인에게 있으며,
투자 결과에 따른 책임 소재로
본 자료가 사용 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제목 그대로입니다.
'한국'이라는 지역은 인공지능이라는 산업에
있어서 글로벌 스탠다드가 될 수 없습니다.
이 것이 제 확실한 생각입니다.
한국이 독자적인 플랫폼을 통해서
혹은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갤럭시, 아이폰'에
들어가는 OS를 만들 수 있을까요?
만든다고 하더라도 과연 제대로 탑재가
되거나 지금의 구글 스토어, 앱 스토어와
같은 부분처럼 가능할까요?
저는 이 부분으로부터 인공지능도 상황은
마찬가지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각각의 플랫폼 및
기술력을 통해서 생성형AI로 인한 사업확장까지
다변화하고 비용 절감을 통한 부분과 효율성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고 실제로 그 부분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데요
생성형AI라는 부분은 이제 점점 확실한
틀이 정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1) 인프라 / 인프라로 인한 계층의 형성
▶ 여기에서 각 요구 및 활용도에 따라서
클라우드 컴퓨팅 요구에 충족시켜줘야하는
까다로운 조건 사항이 생김
2) AI 모델과의 플랫폼 계층
▶ 경쟁이 본격적으로 일어나며, 이제부터는
어떤 큰 기업과 지속적인 공급 계약이나 제휴를
통해서 시장에서 AI 회사로서의 확장을 꿰하나!?
3) 응용 계층
▶ 실제로 모바일, 가전, PC 등의 여러가지
제품과의 호환 및 사용 가능성 & 효율로 인해
시장의 점유율
그리고 무엇보다 기업에게 중요
'돈 얼마나 벌어줄건데?'를 확인해야하지 않을까요?
국내에서는 이미 이 부분을 반영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조심스럽게 듭니다.
모든 기업은 '주가'가 이야기해줘야
우리가 생각하는 게 가치가 생기지 않을까요?
실제로 위 더존비즈온의 22% 에 가까운
상승의 경우 실제로 기업, 기관, 로펌 등에서
AI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여 업무에 활용하는
부분에 필요한 신뢰성, 보안성을 검증받고
통화한 부분으로 인해서 이제는 본격적인
'수익성의 시작'이라는 부분이 더존비즈온의
강한 상승을 불러일으켜주지 않았을까하는데요
하지만, 우리는 어떤 부분을 봐야할까요?
★ 한국은 글로벌 스탠다드가 될 수 없다.
하지만, 이 부분을 주식투자에 있어서 좋게 볼 수
있는 요소는 '실적' 이며 '수익성' 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중장기적인 관점은 '배당'까지
모든 셋트가 합쳐져야 가능하지 않을까?
#AI #생성형AI #구글 #제미나이 #META
#더존비즈온 #생성형AI관련주 #한글과컴퓨터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