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폼팩터 변화가 트리거?
★ Disclaimer
글 작성 시점 혹은 이전부터 언급된 기업을
보유할 가능성이 있고 편향된 시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투자의 판단은 본인에게 있으며,
투자 결과에 따른 책임 소재로
본 자료가 사용 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면..
'뭐든 자꾸 갖다붙이려 하지 마세요'
전고체 배터리가 '꿈의 배터리'로 해서
게임 체인저가 된다고 하다가
LFP를 대체할 수 있는 LFMP 배터리에 더해
하이망간, 나트륨 양극재 배터리가 시장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게임 체인저가 된다고 하다가
4680 원통형배터리가 게임 체인저가 된다고 하다가
'양파도 아니고, 뭐 까도까도 자꾸 나오는 것 처럼
갖다붙이는지 도대체 모르겠습니다'
숫자가 찍히지 않는 부분을 가지고,
폼팩터의 변화다, CNT 도전재다, 실리콘 음극재다
하면서 자꾸 뭔가 상승의 포인트를 만들려고
애쓰시는 것은 알겠습니다.
물론
2차전지가 올라가면 좋죠.
저 HLB 그룹주가 올라가는 것 보다 백배, 천배
더 건강한 시장이 될 것이라는 걸 알지만
배터리 산업 내에서 '폼팩터 다변화'가
갑자기 ? 이제와서? 시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주목할만한 부분이 되는 것이라고 이야기가
나오는 것에 대해서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테슬라를 보자구요
CATL의 LFP 배터리 채택을 하면서
'각형' 배터리가 대세라고 하니까 한국 투자자들
뭐라고 했습니까?
'그거 불나서 안돼 그리고 중국은 글로벌리하게
높은 점유율을 가진 지역이고, 공산당 지역이니까
그 수치는 빼야지'
그렇게 이야기하면서 테슬라는 원통형 배터리에
대해서 전기차 가격을 본인들의 취향대로 상황대로
조정을 하면서 '높은 수익성'을 거두는 것을 보고
몇몇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도 그렇고 2차전지
국내 기업들에 투자한 사람들은 '테슬라는 안돼'
'일론머스크 사기꾼이야' 라고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이제와서 4680 원통형 배터리를
LG에너지솔루션이, 삼성SDI가 생산하고
수율도 안나온다고 하니까 이 때다! 싶어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거봐 안돼,
너희는 K-배터리 없으면 안되는 놈들이야' 라고
태세전환을 오지게 합니다.
그런데..
GM, 포드, 현대차그룹의 자동차는
'파우치형 배터리'의 비중이 높고
스텔란티스, BMW, 도요타 는
'각형 배터리'와 '파우치형'의 비중이 각각
비슷한 편입니다.
원통형 배터리가 또 대세라고 하다가,
이런 수치를 보면? 아마 그 사람들은
'테슬라가 글로벌 전기차 1위니까,
원통형 배터리가 대세가 될거야!!'라고
오지게 태세전환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원래 한국 K-배터리사의 주력 폼팩터는?
삼성SDI는 각형 & 원통형
SK온은 파우치형
LG에너지솔루션은 파우치형&원통형
이렇게 각각 주력 폼팩터가 있습니다.
근데 사람들이 자꾸 본인의 투자와 관련된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투자 포인트로 이리저리
옮겨다니면서 이야기를 만들어 낸 것일뿐
상황이 그렇게 급변한 적은 없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이
'각형 배터리'를 개발한다고 하는 부분은
고객사들의 니즈에 맞추기 위해서 하는
방향성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가지고 테슬라를
또 갖다붙이면서 '아니다'라고 하면 도대체
투자자들은 어떤 것을 보고 투자를 해야할까요?
그러면서 또 사람들은 이야기합니다.
각형 배터리의 장단점은 ! 타 폼팩터 대비 안전해서!
그래서 파우치형이 ! 에너지 밀도가!
그래서 원통형은 !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라고 이유를 덧붙여서 신뢰성을 높일 겁니다.
..........2차전지 저도 물린 것 있고
몰빵한 사람들이나 저 위에 물린사람들
있는 것 아는데 말이죠
'자꾸 이야기를 지어내서 우루루~ 우루루~'
하지 맙시다. 진짜 걱정되서 하는 말인데
그러다가 골로갑니다.
본인의 주관대로 생각대로 투자하면서
공부를 하면서 투자하세요.
누구를 믿고, 그 사람말이 무조건 맞다!
내가 믿는 그 사람 욕하지마라!
이런 사람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2002년 처럼 그렇게 막 뭉치려고 하는 것
그거는 '투자'에 있어서는 객관적인 판단에
굉장히 도움이 안될 것 같은데요..?
투자에 있어서,
나 자신 이외에는 믿지말고 항상 '의심'하세요
#2차전지관련주 #2차전지투자 #2차전지
#K-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엘앤에프
댓글
댓글 쓰기